권한
권한이란?
- 파일 및 폴더에 접근 할 수 있는 사용자를 선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.
권한부여
- Window, MacOS 등과 같이 Linux에도 파일 및 폴더 별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
- xxx/xxx/xxx 인 규칙으로써 3개씩 각각의 의미를 부여한다.
- 처음 세자리 : 파일 및 폴더를 생선한 소유자에 대한 권한
- 중간 세자리 : 파일 소유자가 속한 그룹에 대한 권한
- 마지막 세자리 :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
권한부여 규칙
권한 | 2진수 | 8진수 | 설명 |
---|---|---|---|
--- | 000 | 0 | 권한 없음 |
--x | 001 | 1 | 실행 |
-w- | 010 | 2 | 쓰기 |
-wx | 011 | 3 | 쓰기 및 실행 |
r-- | 100 | 4 | 읽기 |
r-x | 101 | 5 | 읽기 및 실행 |
rw- | 110 | 6 | 읽기 및 쓰기 |
rwx | 111 | 7 | 읽기 및 쓰기 및 실행 |
특수 권한
권한 | 8진수 | 기호 | 설명 |
---|---|---|---|
setuid | 4 | s | 실행 순간만 권한을 빌려옴 |
setgid | 2 | s | setuid와 비슷하지만 user가 아닌 group으로 빌려옴 |
sticky bit | 1 | t | 누구나 사용 할 수 있게 만듬(공용 디렉토리에 사용) |
권한 부여
명령어
- 파일 및 폴더에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
- -R 옵션을 사용하면 하위 모든 파일 및 폴더의 권한을 가지게 된다.
chmod ${권한} ${options} ${파일 및 폴더}
- 파일의 mode를 변경하는 명령어
- mode의 종류
- 소유자
- u : 소유자(user)
- g : 소속 그룹(group)
- o : 기타(other)
- a : 모두(all)
- 추가/삭제/실행
- + : 추가
- - : 삭제
- = : 실행
- 읽기/쓰기/실행
- r : 읽기
- w : 쓰기
- x : 실행
- 특수 권한(부여/미부여)
- s / S : setuid, setgid
- t : sticky bit
- 소유자
chmod ${options} ${mode} ${파일 및 폴더}
# 예시
# test 파일의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추가
chmod u+x test
기타 변경
소유주 변경 명령어
chown ${소유할 소유주} ${파일명}
소속 그룹 변경 명령어
chgrp ${소유할 그룹명} ${파일명}
728x90
반응형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에서 systemctl을 사용하여 서비스관리하기(feat. tomcat 부팅시 자동시작) (0) | 2024.04.19 |
---|---|
Ubuntu 22.04에 Nginx 설치하기 (0) | 2024.04.16 |
댓글